전체메뉴보기

본문

주요인물

  • 홈

 

pclim2.png 풍천임씨 가문을 빛낸 인물

 

풍천임씨(豊川任氏)의 시조(始祖)는 본래 중국(中國)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 사람으로 고려(高麗) 때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에 오른 임 온(任 溫)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온(溫)은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배종(陪從)하고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풍천(豊川)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온(溫)의 6세손(世孫)인 주(澍)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경상도안찰사(慶尙道按察使)를 거쳐 조봉대부(朝奉大夫)에 올라 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을 역임하였는데, 풍천임씨는 그의 아들 대(代)에 와서 백파(伯派 : 자송)와 중파(仲派 : 자손)로 크게 나뉘며 두 파(派)에서 고루 인물을 배출하여 가문(家門)을 중흥시켰다.자송(子松)은 백이정(白正)의 문인(門人)으로 조 적(趙 )의 난(亂) 때 공(功)을 세워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올라 서하부원군(西下府院君)에 봉해졌고, 자순(子順)은 통헌대부(通憲大夫)로서 민부전서(民部典書)를 지내고 개성부사(開城府使)를 역임하였다.  

 

자송(子松)의 6세손인 원준(元濬)은 당대의 명관(名官)으로 경사(經史)에 밝고 시(詩)와 문장(文章)이 뛰어나 명성을 얻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진 후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사홍(士洪)은 한어(漢語)에 정통하고 해서(楷書)에 뛰어났으며, 두 아들 광재(光載)와 숭재(崇載)가 각각 조선(朝鮮)에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駙馬)가 되었다. 또한 열(說)은 자송(子松)의 8세손으로 대사간(大司諫). 대사헌(大司憲)에 이어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냈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으며 자손(子順)의 7세손인 유겸(由謙)은 중종(中宗) 때 대사헌(大司憲)과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거쳐 형조. 공조판서(刑曹.工曹判書)를 지냈는데 이들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人物)들이 배출되어 풍천임씨(豊川任氏)의 2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유겸(由謙)의 아들 추(樞). 권(權). 병(柄) 삼형제가 모두 뛰어났다.

 

 

맏아들 추(樞)는 대사간(大司諫).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거쳐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이르렀고, 권(權)은 이조정랑(吏曹正郞). 예조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관찰사(觀察使) 및 예조판서(禮曹判書)가 되고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를 역임한 뒤 좌참찬(左參贊)에 이르렀다. 막내인 병(柄)도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 및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지냈으며 글씨에 탁월한 재질(才質)을 보였다.

 

추(樞)의 아들로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 (錄選)된 호신(虎臣)과, 형조참의(刑曹參議)에 이른 보신(輔臣), 현감(縣監) 주(柱)의 아들로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와 전주부윤(全州府尹)을 지낸 내신(乃臣), 몽신(夢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공을 세운 탁(鐸)과 현(鉉) 등이 대(代)를 이어 훌륭한 풍천임씨(豊川任氏) 가문(家門)을 빛냈다. 또한 풍천임씨(豊川任氏)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은 승려의 몸으로 국가(國家)가 위기에 봉착하자 분연히 일어나 의승(義僧)을 이끌고 왜병(倭兵)에 대항하여 전공(戰功)을 세운 사명대사(四溟大師)인데, 그는 자순(子順)의 6세손으로 본명(本名)은 응규(應奎), 법명(法名)은 유정(惟政)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수성(守成)의 둘째 아들이다.이외에도 재사(才士)로 이름난 광()은 감찰(監察) 익신(翊臣)의 아들이며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에 다녀와 형조참판(刑曹參判). 관찰사(觀察使)를 거쳐 도승지(都承旨) 등을 역임하였다.

 

「목동가(牧童歌)」를 지은 유후(有後)도 예조참판(禮曹參判). 관찰사(觀察使). 도승지(都承旨)등을 역임하였으며 후에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追贈)되었다. 시문에 뛰어난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소현세자(소현세자)가 심양(瀋陽)에 볼모로 갈 때 배종(陪從)한 뒤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효종실록(孝宗實錄)」편찬에 참여한 한백(翰伯), 문장과 글씨가 탁월하고 경사(經史)에 정통하여 명성을 얻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오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홍망(弘望)과 대사성(大司成).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한 방() 등은 명망높은 가문을 더욱 유명하게 하였다.

 

근세(近世)의 명필(名筆)로 형조참판(刑曹參判). 도승지(都承旨)를 지낸 수적(守迪), 대사간(大司諫). 대사성(大司成)을 지내고 고금의 시가(詩歌)에 통달하였고 글씨에도 능하였던 그의 아들 정(珽), 그리고 조선조(朝鮮朝) 성리학(性理學)의 6대가(大家)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성주(聖周)와 이(理)와 기(氣)의 이원론(二元論)을 배격하고 기(氣)를 일원적(一元的) 관념(觀念)으로 통일하여 주기설(主氣說)을 확립한 정주(靖周)는 형제(兄弟)학자로서 당대에는 물론 후세에 까지 이름을 떨쳐 명문인 풍천임씨를 더욱 유명하게 하였다.

 

(우)04039 서울시 마포구 홍익로3길 20 서교오피스텔 525호

전화 : 02-338-6179  팩스 : 02-334-8567 Email : pci6179@naver.com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

ⓒ2022 풍천임씨중앙종친회. All rights reserved.

페이지상단 바로가기